마부뉴스에서 사용된 데이터와 원 출처를 확인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. Graph Details에서는 레터에서 간단하게 소개된 그래프를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해드립니다. Data에서는 레터에서 활용한 다양한 데이터 소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직접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에 활용해보세요. Article에는 마부뉴스가 레터를 쓰면서 참고한 기사 목록을 담아두었습니다. 궁금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을 남겨주세요.
Graphic Details
- 필수 의료과목의 수도권 집중 현상 - 의료법에서는 종합병원이 갖춰야하는 요건으로 필수 진료과목을 제시하고 있습니다. 
- 100병상 이상 300병상 이하인 경우에는 내과ㆍ외과ㆍ소아청소년과ㆍ산부인과 중 3개 진료과목, 영상의학과, 마취통증의학과와 진단검사의학과 또는 병리과를 포함한 7개 이상의 진료과목을 갖추고 각 진료과목마다 전속하는 전문의를 두어야 합니다. 
- 300병상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과, 외과, 소아청소년과, 산부인과, 영상의학과, 마취통증의학과, 진단검사의학과 또는 병리과, 정신건강의학과 및 치과를 포함한 9개 이상의 진료과목을 갖추고 각 진료과목마다 전속하는 전문의를 두어야 합니다. 
- 필수 진료과목 중 네 과목(내과, 외과, 소아청소년과, 산부인과)과 신경외과의 수도권 집중 비율을 살펴봤습니다. 
- 산부인과는 전체 5,221명의 의사 중 수도권에만 2,881명이 몰려 있어 비율이 55.2%로 가장 높았습니다. 
- 내과는 17,510명 중 수도권에 9,487명 / 소아청소년과는 전체 5,645명 중 수도권에 3,029명 / 신경외과는 2,884명 중 수도권에 1,461명 / 외과는 5,932명 중 수도권에 2,966명이 위치했습니다. 
- 의사 데이터는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을 활용해 1월 16일 기준으로 크롤링했습니다. 
 
- 전국 시군구별 인구 10만 명 당 산부인과 의사 수 - 전국 250개 시군구의 산부인과 의사수와 인구를 비교해 분포도를 그린 그래프입니다. 
- 대한민국의 인구 10만 명 당 산부인과 의사 수는 10.1명 입니다. 
- 전국 평균보다 낮은 의사 수를 기록한 지역은 모두 186곳입니다. 
- 시군구에 산부인과 의사가 단 1명도 없는 지역은 모두 23곳입니다. 
- 23곳 : 강원 고성군, 양양군, 정선군, 횡성군 / 경남 고성군, 산청군, 의령군, 함양군 / 경북 고령군, 군위군, 봉화군, 영양군, 울릉군, 청송군 / 인천 옹진군 / 전남 곡성군, 구례군, 담양군, 영암군 / 전북 무주군, 임실군, 장수군 / 충북 단양군 
 

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