마부뉴스

Share this post

우리는 왜 대학에 가려할까?

kkockko.substack.com

우리는 왜 대학에 가려할까?

마부뉴스 CHART & DATA & SOURCE

꼭꼬
Nov 16, 2022
1
Share this post

우리는 왜 대학에 가려할까?

kkockko.substack.com

마부뉴스에서 사용된 데이터와 원 출처를 확인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. Graph Details에서는 레터에서 간단하게 소개된 그래프를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해드립니다. Data에서는 레터에서 활용한 다양한 데이터 소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직접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에 활용해보세요. Article에는 마부뉴스가 레터를 쓰면서 참고한 기사 목록을 담아두었습니다. 궁금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을 남겨주세요


Graphic Details

  • OECD 국가별 고등교육 교육비 비율

    • OECD의 2022년 교육 보고서 <Education at a Glance 2022> 자료를 바탕으로 만든 그래프입니다.

    • 활용한 데이터는 C3.1.의 OECD 국가별 정부 지출 비율, C 3.2.의 OECD 국가별 민간 지출 비율(가계, 기타 민간 지출)입니다.

  • 위대한 개츠비 곡선

    • ‘위대한 개츠비 곡선’은 오타와대학의 경제학자 마일스 코라스 교수가 만든 그래프입니다.

    • 이 그래프를 당시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이었던 앨런 크루거 교수가 <대통령 경제 보고서>에 포함하면서 유명해졌습니다.

    • X축은 지니계수로 표현한 현시점의 경제적 불평등 지수입니다. 오른쪽으로 갈수록 불평등한 사회라는 걸 의미하죠. Y축은 세대간 소득탄력성 지표입니다. 부모가 잘 살수록 자녀 역시 잘 사는 정도를 표현한 것으로 위쪽으로 갈수록 부와 소득이 세습되는 경향이 강한 사회라는 뜻입니다.

    • 위 그래프는 2019년 OECD 데이터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.

Share 마부뉴스


Data

  • OECD Data : Spending on tertiary education

  • 통계청 학교급별 사교육비 총액

  • 대학알리미

  •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데이터

  • 국내 교육단계별 취학률


Article

  • OECD Education at a Glance 2022

  • 2021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보고서

  • 우리나라 교육지표 현황과 사교육 영향 분석

  • A Broken Social Elevator? How to Promote Social Mobility

  • 자녀의 학력이 부자간 소득계층 대물림에 미치는 영향


News

  • 걷어차인 사다리…교육이 소득계층 대물림 오히려 강화

  • 지난해 대졸 이상 취업률 65.1% ... 2011년 이후 최저

  • 대학 미달 가속화… 2년뒤, 입학정원 8만명 못 채운다

  • "명문대 덫에 걸린 韓"…교육비 펑펑써도 생산성은 OECD '꼴찌'

  • 내년 대학정원>대입자원…5년 뒤면 대학 갈 학생 40만명 밑으로

  • KDI "대졸 5명중 1명, 고졸보다 임금 낮아"

  • 교육은 한국 사회를 불평등하게 만들고 있나

  • 한국 대학생 1인당 민간부담 교육비 여전히 OECD 상위권

  • “사교육비, 경제적 부담” 응답 내 부모 세대보다 높다…하지만

  • 초·중·고 공교육비 정부재원 OECD 평균 첫 상회…대학은?

  • [2021년 교육인식조사] 대학 진학 및 학력에 대한 인식

  • “자녀, 계층 상승할 것” 10명 중 3명뿐…60대 이상 70%가 “생활비 손수 마련”

  • What is The Great Gatsby Curve?

Share 마부뉴스

Share this post

우리는 왜 대학에 가려할까?

kkockko.substack.com
Comments
TopNewCommunity

No posts

Ready for more?

© 2023 꼭꼬
Privacy ∙ Terms ∙ Collection notice
Start WritingGet the app
Substack is the home for great writing