마부뉴스

Share this post

우리도 언젠가 난민이 될 수 있다고?

kkockko.substack.com

우리도 언젠가 난민이 될 수 있다고?

마부뉴스 CHART & DATA & SOURCE

꼭꼬
Feb 22
Share this post

우리도 언젠가 난민이 될 수 있다고?

kkockko.substack.com

마부뉴스에서 사용된 데이터와 원 출처를 확인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. Graph Details에서는 레터에서 간단하게 소개된 그래프를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해드립니다. Data에서는 레터에서 활용한 다양한 데이터 소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직접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에 활용해보세요. Article에는 마부뉴스가 레터를 쓰면서 참고한 기사 목록을 담아두었습니다. 궁금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을 남겨주세요.


Graphic Details

  • 해수면 상승 현황

    • 1901년부터 2018년까지 전 세계 평균 해수면은 0.20m 상승했습니다.

    • 시기별로 해수면 상승률을 살펴보면 점점 그 속도가 빨라지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    • 1901년과 1971년 사이에는 평균 1.3mm/년이었지만 1971년과 2006년 사이에는 1.9mm/년으로 증가했습니다. 2006년과 2018년 사이에는 3.7mm/년으로 더욱 증가합니다.

    • WMO에서는 2013~22년 동안 해수면 상승이 평균 4.5mm/년이었다고 보고했습니다.

    • 1971년 이후 해수면 상승의 주요 원인은 인간의 영향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.

    • 전 세계 평균 해수면은 1900년 이후 적어도 지난 3000년 동안 그 어떤 이전 세기보다 빠르게 상승했습니다.

    • 그리고 지난 세기 동안 전 세계 해양은 마지막 빙하기(약 11,000년 전)가 끝난 이후보다 더 빠르게 온난화되었습니다.

  • 스위스 알프스 지역의 빙하 모니터링 현황

    • 스위스 알프스 빙하의 연간 총 손실량(2002~2022년)을 나타낸 그래프입니다.

    • 세로 막대는 전년 대비 얼음 부피의 백분율 변화를 나타냅니다. 빨간색/보라색 막대는 기록상 가장 큰 상대적 질량 손실 TOP 10을 말합니다. 보라색 막대는 2022년의 상대적 질량 손실량입니다.

    • 2001년부터 2022년까지 스위스의 빙하 얼음 양은 77㎦에서 49㎦로 3분의 1 이상 감소했습니다.

    • 얼음이 많이 녹은 이유

      • 첫째, 겨울철 눈이 거의 내리지 않아 초여름에 얼음이 보호받지 못함

      • 둘째, 사하라 사막의 모래가 알프스 상공으로 날아가 눈 표면을 어둡게 만들어 녹는 속도가 더욱 빨라짐

      • 셋째, 2022년 5월부터 9월 초까지 길고 지속적인 폭염으로 인해 얼음이 대량으로 손실

  • 국내난민 중 분쟁 및 자연재해로 인한 난민 규모

    • 내부난민감시센터(IDMC)의 GIDD를 활용했습니다.

    • 관련 자료는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Share


Data

  • IDMC GIDD(Global Internal Displacement Database)


Articles

  • WMO Provisional State of the Global Climate 2022

  • Future Coastal Population Growth and Exposure to Sea-Level Rise and Coastal Flooding - A Global Assessment

  • ECOLOGICAL THREAT REGISTER 2022

  • 국제법상 ʻ환경난민ʼ에 대한 인권 기반적 접근


News

  • The century of climate migration: why we need to plan for the great upheaval

  • Displaced on the frontlines of the climate emergency

  • Disaster Displacement in Asia and the Pacific

  • Climate refugees – the world’s forgotten victims

  • New Zealand's "Climate Refugee" Visas: Lessons for the Rest of the World

  • 기후위기가 국제분쟁 키운다

  • 유엔 '기후변화 난민' 인정…"임박한 위험에 강제송환 안돼"

  • 바늘구멍 뚫어야 '대한난민' 된다…우크라 출신도 난민 인정 사례 無

  • 유엔총장 "런던 · 뉴욕 다 위험"…해수면 상승 발 '기후난민' 경고

  • 2050년 한국인도 ‘기후 난민’ 되나

  • 기후변화 취약국 방글라데시가 찾은 해결책은?


Youtube

Share

Share this post

우리도 언젠가 난민이 될 수 있다고?

kkockko.substack.com
Comments
TopNewCommunity

No posts

Ready for more?

© 2023 꼭꼬
Privacy ∙ Terms ∙ Collection notice
Start WritingGet the app
Substack is the home for great writing