마부뉴스에서 사용된 데이터와 원 출처를 확인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. Graph Details에서는 레터에서 간단하게 소개된 그래프를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해드립니다. Data에서는 레터에서 활용한 다양한 데이터 소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직접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에 활용해보세요. Article에는 마부뉴스가 레터를 쓰면서 참고한 기사 목록을 담아두었습니다. 궁금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을 남겨주세요!
Graphic Details
- 전세계 분쟁 현황 
- 이번 레터에서 활용한 데이터 ACLED에서는 분쟁 타입을 총 6개로 구분하고 있습니다. 6개를 기준으로 전세계에서 일어난 분쟁을 지도위에 뿌려봤습니다. 
- 기준 시점은 미얀마 쿠데타 이후인 2021년 2월 이후로 했습니다. 
- 미국, 유럽, 대한민국,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의 분쟁은 시위(Protests)가 중심인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합니다. 
- 반면 미얀마, 아프가니스탄, 중앙 아메리카, 중앙 아프리카에는 전투(Battles), 민간인을 향한 폭력(Violence against civilians), 폭발(Explosions/Remote violence) 등이 자주 발견됩니다. 
- 위의 그래프는 전세계 분쟁 건수 상위 10개 국가를 나타낸 시각화 자료입니다. 
- 미얀마(MMR)가 12,629건의 분쟁으로 가장 많은 분쟁이 일어난 국가입니다. 
- 10,000건 이상의 분쟁이 발생한 국가는 모두 4곳으로 미얀마, 인도, 미국, 멕시코입니다. 
- 인도와 미국은 시위(Protests)가 많고 멕시코에선 민간인을 향한 폭력(Violence against civilians)가 많습니다. 
- 미얀마 분쟁 상황 
- 미얀마에서 발생한 12,639건의 분쟁을 트리맵으로 나타낸 그래프입니다. 
-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건 평화적 시위(Peaceful protest)입니다. 전체 12,629건 중 4,786건을 차지하여 전체의 37.9%의 비율을 나타냈습니다. 
- 민간인을 향한 폭력(Violence against civilians)는 총 1,346건으로 전체의 10.7%를 차지했습니다. 
- 주차별 미얀마 민주화운동 상황 
- 2021년 주차별(5주차부터 43주차까지)로 미얀마 분쟁 현황을 시각화한 그래프입니다. 
- 2021년 2월(5주차)부터 시작된 미얀마 민주화 운동은 초기에는 시위 중심으로 진행됐습니다. 6주차부터 18주 연속으로 평화적 시위(Peaceful Protest)가 100건 이상 발생했습니다. 
- 6월 말(25주차)부터는 평화적 시위가 100건 미만으로 떨어지고 다른 분쟁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 특히 Explosions / Remote violence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 
- 미얀마 분쟁 사망자수 현황 
- 사망자(Fatalities)를 산점도로 표시했습니다. 
- 전투(Battles)와 폭발(Explosions / Remote violence)이 확실히 사망자 수가 많습니다. 
- 전체 분쟁을 토대로 추세선을 그려보면 초반에 비해 사망자수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습니다. 평화적 시위는 줄어들고 폭력 행위가 늘어나면서 전체적인 사망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. 
- 미얀마 분쟁 지도로 보면? 
- 미얀마에서 발생한 분쟁을 지도위에 시각화했습니다. 원의 크기는 해당 분쟁에서 발생한 사망자 수 입니다. 원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사망자가 많이 발생한 분쟁입니다. 
- 전투(Battles)로 인한 사망자가 가장 많습니다. 총 3,972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. 다만 데이터에서 사망자의 소속 구분은 되어있지 않아 모두가 민간인 피해자라고 볼 순 없습니다. 
- 뒤이어 민간인을 향한 폭력(Violence against civilians)에 의한 사망자가 1,171명으로 2위를 차지했습니다. 적어도 1,000명 이상의 민간인 희생자가 미얀마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. 
- 가장 많은 사망자가 난 지역은 Gangaw 지역입니다. 총 218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는데 10월 초 미얀마의 국민통합정부가 군부에게 선전포고한 이후 Gangaw 지역이 포함된 Yaw 지역에서 충돌이 심화되고 있습니다. 





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