마부뉴스

Share this post

인구 감소는 처음이라… 어떻게 해야 할까?

kkockko.substack.com

인구 감소는 처음이라… 어떻게 해야 할까?

마부뉴스 CHART & DATA & SOURCE

꼭꼬
Aug 10, 2022
1
Share this post

인구 감소는 처음이라… 어떻게 해야 할까?

kkockko.substack.com

마부뉴스에서 사용된 데이터와 원 출처를 확인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. Graph Details에서는 레터에서 간단하게 소개된 그래프를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해드립니다. Data에서는 레터에서 활용한 다양한 데이터 소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직접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에 활용해보세요. Article에는 마부뉴스가 레터를 쓰면서 참고한 기사 목록을 담아두었습니다. 궁금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을 남겨주세요!


Graphic Details

  1. 전세계 출산율 변화(1950~2021)

    Population
    11.5MB ∙ XLSX File
    Download
    Download
    • UN Population Division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22 데이터를 활용해 시각화했습니다.

    • 활용한 데이터는 합계출산율(Total Fertility Rate(live births per woman))로 전세계 국가들의 1950-2021년까지의 출산율을 비교해봤습니다.

    • 대한민국은 진한 빨간색으로, 전세계 평균은 점선으로 표시했습니다.

    • 1950년 전세계 여성 1인당 자녀수는 4.86명이었지만 2021년엔 2.321명으로 절반 이하로 떨어졌습니다.

    • 우리나라는 1950년 출산율 5.969명에서 2021년엔 0.880명으로 감소했습니다.

    • 인구를 현상유지하는 데 필요한 출산율은 2.1명인데, 2021년 출산율이 2.1명이 되지 않는 국가는 2021년 기준으로 124개국입니다.

    • 참고로 2021년 최저 출산율을 기록한 곳은 0.745의 홍콩으로, 국가만 치면 우리나라가 최저 수치입니다.

    • 참고. 최저 출산율 1위. 0.745 홍콩 2위. 0.880 대한민국 3위. 1.005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 4위. 1.005 생바르텔레미 5위. 1.024 싱가포르

  2. 대한민국의 첫 인구 감소

    • 2021년 총인구는 5,173만 8,071명으로 전년 대비 9만 1,065명 감소했습니다.

    •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실시한 1949년 집계 이후 처음으로 감소한 수치입니다.

    • 인구성장률도 2021년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(-0.2%)을 기록했습니다.

    • 생산연령인구(15~64세)와 유소년인구(0~14세)는 감소했지만, 고령인구(65세~)는 유일하게 증가하였습니다.

  3. OECD 회원국들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

    • UN Population Division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22 데이터 활용해 시각화했습니다.

    • OECD 국가들의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 변화를 시각화한 것으로 1950년부터 2050년까지 데이터(1950~2021는 실제 데이터, 2022~2050 예측데이터)를 활용했습니다. 예측데이터는 중위예측 데이터를 사용했습니다.

    • 1950년 대한민국의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은 2.7%로 OECD 국가중 최하위(38위)입니다. 2000년 처음으로 7%를 넘기면서 고령화사회 진입한 뒤, 2018년 고령사회에 진입했고, 2025년(예측) 초고령사회에 진입합니다.

    • 2050년엔 대한민국이 1위로 등극합니다. 2050년엔 2개 국가를 제외하고는 모든 OECD 국가들이 초고령사회로 나타납니다.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%가 되질 않는 유이한 국가는 멕시코(18.9%)와 이스라엘(16.2%)뿐 입니다.

  4. 비혼 출산율 대비 합계 출산율

    Birth Outside Marriage
    9.07KB ∙ XLSX File
    Download
    Download
    • OECD Family Database 중 Share of births outside of marriage 데이터(2018년)와 United Nations Population Division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22 데이터를 사용하여 출산율 대비 비혼 출산율을 시각화했습니다.

    • OECD 데이터에서 제공하는 국가 중에서 우리나라는 가장 낮은 합계 출산율과 가장 낮은 비혼 출산율을 기록했습니다.

    • 출산율이 비교적 높은 국가일수록 비혼 출산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    • 위 산점도는 2018년의 자료를 기반으로 나타낸 것입니다.

Share 마부뉴스


Data

  • 통계청 인구총조사 데이터

  •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22

  • OECD Family Database

  • Our World in Data : Fertility Rate

  • Our World in Data : World Population Growth


Report

  • Malthusianism of the 21st century

  • 인구구조 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-OECD국을 중심으로

  • 감사 보고서 : 인구구조변화 대응실태


News

  • 지난해 인구 5천174만명…정부 수립후 72년 만에 첫 감소

  • 이미 지난해 ‘인구 정점’…정부 예상보다 8년 앞당겨져

  • [LAB INTERVIEW] 인구 감소 시대, 우리 사회의 지속성을 고민해야

  • 출생 지원도 중요하지만…인구 다운사이징 준비해야

  • 유한킴벌리 디펜드, 매출 '쑥쑥'…성인용 기저귀, 유아용 따라잡나

  • 지구촌 33개 나라가 인구감소국 대열에

  • [그래?픽!]출산율 꼴찌인 까닭?…여전한 집값·실업률

  • 국민 85.7%, 저출산‧고령화에 국가소멸 위기 공감

  • 합계출산율 0.81명, 인구 소멸 시대에 주택 시장 앞날은

  • '인구 줄면 집값 폭락 vs 1인 가구 증가로 올라'…뭐가 맞을까

  • [경제 view &] 저출산이 청년실업 해결할까?

  • "인구 감소 탓에 이민 수용은 불가피…지금부터 준비해야"

  • [새 동포·다문화 정책]④ '인구절벽' 직면해 이민정책 전환하나

  • "젊은이들, 지방으로 이사 가세요" 일본이 팔 걷은 이유

  • “인구절벽, 중요한 국방 이슈…병력 구조 리모델링 시급”

  • 올해 교사 1089명 감축… “학령인구 감소 탓”

  • 매년 사라지는 학교 400개 …일본 시골은 리모델링 중

  • 무늬만 저출생 정책…기본계획은 왜 실패의 길을 걸었나

  • 인구 줄면 경제 망할까? 100년 전부터 ‘사멸’ 걱정한 독일을 보라

  • Why declining birth rates are good news for life on Earth

  • Falling birthrates could be a tonic for the planet

  • Japan records its largest natural population decline as births fall

  • Britain’s falling birthrate will damage our society – and it’s nust Covid to blame

  • Marry, have a baby? No thanks, say more Hongkongers, as experts blame pandemic, cost of living, sky-high home prices

  • Asia’s advanced economies now have lower birth rates than Japan


Youtube

Share 마부뉴스

Share this post

인구 감소는 처음이라… 어떻게 해야 할까?

kkockko.substack.com
Comments
TopNewCommunity

No posts

Ready for more?

© 2023 꼭꼬
Privacy ∙ Terms ∙ Collection notice
Start WritingGet the app
Substack is the home for great writing